[PMB 09 - weekly 과제 3 주차] 그리팅의 문제해결을 위한 MVP 와 BM 분석
문제 해결을 위한 핵심기능 정리
"고객의 불편함을 줄이자"
그리팅은 처음 이용할 때, 역할에 맞는 사용방법을 선택하여 안내 받을 수 있다.
하지만 안내하는 내용이 굉장히 한정적이고 FAQ가 없어 추가 기능에 대하여 안내는 받기 어렵다.
웹페이지 하단의 가이드&릴리즈를 통해 노션으로 이동 후, 고객 가이드를 다운받아 기능에 대한 안내를 받을 수 있지만 로그인 상태에서는 해당 기능이 보이지 않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이용중인 화면에서 FAQ 기능을 만들어 고객 불편함을 개선하고자 한다.
핀터레스트의 FAQ를 참고하여 그리팅 FAQ의 핵심 기능과 MVP를 위한 최소 기능을 알아보자
그리팅의 FAQ 핵심 기능과 최소기능
1. 자료를 다운 받지 않고 한번에 볼 수 있는 원페이지 형태
2. 고객이 보기 쉬운 장소에 FAQ 배치
3. 문의 내용 검색 기능
4. 카테고리 분리
* FAQ에서 채널톡(1:1 문의)으로 넘어갈 수 있도록 설정하면 좋을 것 같음.
프로토타입과 고객 시나리오 설정
"잘 보이는 곳에, 제일 궁금한 것만"
메뉴얼에 문의하기 하단에 FAQ 를 배치함으로서 고객이 문의하기 전, 스스로 내용을 검색해보고 해결할 수 있도록 돕게 하였다.
카테고리 분류와 내용은 기존에 그리팅이 제공하는 가이드 자료에서 중점 내용으로 작성하여, 고객이 가장 궁금한 문의들 위주로 노출한다.
그리팅 FAQ 의 사용자 시나리오
고객이 그리팅을 이용에 추가적인 안내가 필요하여 FAQ를 보게 된다.
FAQ 페이지 내에서 검색 또는 분류를 선택하여 문의 내용에 대한 안내를 받고 문제를 해결하는 구조.
비즈니스 모델 (BM) 분석
"공고부터 채용까지 한번에"
비즈니스 모델 도식화를 위하여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를 먼저 작성하였다.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를 도식화하면 아래와 같다.
솔루션(MVP) 검증하기
"가장 불편할 사람에게 묻자"
A. 검증 방법
그리팅에 플랜 관련하여 1번 이상 문의한 기업에게 설문조사를 안내한 뒤, 선착순 100 기업에게는 1달동안 비즈니스 플랜을 무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여 서비스를 직접 이용하게 하고 MVP 기능에 대하여 검증한다.
B. 평가 지표
1. 고객 이용 불편함 VOC 감소
그리팅의 이용 불편함 문의량이 얼마나 개선되었는지 확인이 필요하다. 지금까지 FAQ 기능이 없어 모든 내용이 1:1 문의로 접수되었고, 1:1 문의에서 불편 내용 VOC가 감소한다면 기능이 목적(고객 불편함 개선)을 다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2. 서비스 만족도
1달간 서비스 이용을 한뒤, 만족도 조사를 진행하여 고객의 정성적 평가를 받을 수 있다. 추가로 개선했으면 하는 내용이나 앞으로 나아가야할 방향성도 가져갈 수 있다.
마지막으로..
그리팅에 대한 자료조사가 너무 힘들었다.
구글링하면 그리팅몰이 나오고 서비스가 오래되지 않아 투자 관련 기사밖에 찾지 못했다.
이러한 이유로 처음부터 끝까지 서비스 자체에만 집중하며 분석을 해나갔는데, 아무래도 개인적인 생각에서 펼친 가설이다보니 뒷받침할 근거가 확연하게 떨어지는 모습이있다.
시각을 넓혀 그리팅 관련 자료가 아니라 채용 시장에 대한 접근을 했으면 어땠을까 라고 생각이 들기도 한다. 채용시장에 대한 자료는 많으니 그리팅과 접목하여 가설을 뒷받침하면 될 것 같다는 느낌을 받았다.